교수소개

조봉래 사진

조봉래
전화번호
032-835-8799
이메일
maozd@inu.ac.kr
홈페이지
주전공
담당과목
지역문화 사례연구2
세부내용

◈ 학력

- 北京大學 문학석사

- 北京大學 철학박사


◈ 연구실적

<논문>

A Study on Avant-Garde Phenomena in an Era of Large-Scale Social Crisis: Focusing on the Situationism of the Protests of 1968

and the Chinese Culture Craze Phenomenon of the 1980s,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, 15() , 4, PP.51~59

, 2025.04.30

법가사상과 현대중국의 법제강화, 중국학논총 , 72, PP.161~177 , 2021.12.31

중국의 근대화 과정과 인천 차이나타운의 형성과 변화-양무운동과 청일전쟁을 중심으로, 인천학연구 , 1() , 30, PP.231~259

, 2019.02.28

중국의 정치지도자에 대한 개인숭배의 사상적 근원, 중국학논총 , 59, PP.125~140 , 2018.09.05

중국공산당의 동남아화교에 대한 정책의 변화와 그 사상적 배경, 중국학논총 , 55() , PP.95~114 , 2017.09.30

사상적 연원과 시대적 흐름을 통해 본 시진핑(習近平) 정부의 중화민족주의 강화, 민족연구 , 70, PP.49~70 , 2017.09.01

당대 중국의 마르크스주의 대중화 이론과 개혁개방 이후의 역사과정, 중국학논총 , 45, PP.187~203 , 2015.03.31

이인위본(以民爲本)’을 통해 본 당대 중국공산당의 인민관(人民觀)’, 중국학연구 , 66, PP.209~230 , 2013.12.31

중국의 이념적 위기에 대한 중국 정부의 대응 연구, 한국위기관리논집 , 9() , 12, PP.251~266 , 2013.12.31

艾思奇{대중철학}과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대중화, 한국철학논집 , 39() , 39, PP.195~220 , 2013.12.15

현대 중화민족주의의 형성과 그 본질: 孫文毛澤東의 민족주의 사상을 중심으로, 中國學報 , 64() , PP.517~535 , 2011.12.31

당대 중국의 화해사회론의 철학적 함의와 그 전망, 중국학논총 , 31집권() , 2010.12.20

중국식 사회주의와 민주주의, 한국철학논집 , 27, PP.223~254 , 2009.09.01.


<저서>

역주 구한국외교문서 <청안(淸案)>.2, 인천학연구원 , 2018.02.21

처음 읽는 중국 현대철학, 동녘 , 2016.04.25

- 현대신유학과 중국특색의 사회주의, 한양대학교 출판부 , 2008.01.01.